-
궤양성 대장염 치료약, 정확히 알고 복용하자일상 정보/건강 2025. 10. 15. 15:49반응형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의 점막에 염증과 궤양이 생기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주로 설사, 혈변, 복통 등의 증상이 반복되며, 완치보다는 증상의 조절과 재발 예방을 목표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는 약물요법이 중심이며, 병의 중증도와 위치, 재발 여부에 따라 다양한 약물이 사용됩니다.

1. 5-아미노살리실산(5-ASA) 계열
궤양성 대장염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염증을 완화시키고 재발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경구용과 직장용(관장, 좌약)으로 나뉘며, 주로 경증에서 중등증 환자에게 처방됩니다.
- 메살라진(Mesalazine): 가장 널리 쓰이는 5-ASA 제제. 펜타사(Pentasa), 아사콜(Asacol), 살로팍(Salofalk) 등의 상품명이 있습니다.
- 술파살라진(Sulfasalazine): 부작용 가능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사용이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에서 사용됩니다.
2. 스테로이드
급성 악화 시 염증을 빠르게 억제하는 데 쓰이며, 장기 사용 시 부작용이 심하므로 단기간에만 사용합니다. 보통 입원 치료 시나 중등도 이상 염증 조절을 위해 사용됩니다.
-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 부데소니드(Budesonide): 국소 작용형으로 전신 부작용을 줄인 스테로이드
3. 면역조절제
5-ASA나 스테로이드로 조절되지 않는 중등도~중증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장기적으로 재발을 막는 데 효과가 있지만,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수 주가 걸립니다.
-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 6-메르캅토퓨린(6-MP)
4. 생물학적 제제 (Biologics)
중증 궤양성 대장염이나 기존 약물로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에게 사용되는 고가의 치료제입니다. TNF-α 억제제나 인터류킨 억제제 등이 있으며, 점점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인플릭시맙(Infliximab): 레미케이드(Remicade)
- 아달리무맙(Adalimumab): 휴미라(Humira)
- 베돌리주맙(Vedolizumab): 엔티비오(Entyvio), 장에 특이적으로 작용
- 우스테키누맙(Ustekinumab): 인터류킨 12/23 억제제, 스텔라라(Stelara)
5. JAK 억제제
경구용 소분자 약물로 최근 중등도~중증 환자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토파시티닙(Tofacitinib, 자크비(Zeljak) 등)이 있습니다. 빠른 효과가 장점이지만, 감염 위험과 고지혈증 등의 부작용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6. 기타 약물
- 항생제: 보조적으로 사용되며, 염증 악화 시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 진통제 및 지사제: 일시적인 증상 완화 목적 (하지만 과다 사용 금지)
- 영양요법: 장의 휴식을 위한 경장영양, 금식, 정맥영양 등이 필요할 수 있음
정리
궤양성 대장염은 단순히 약으로만 조절되는 질환이 아니라, 식습관과 생활 습관도 치료에 큰 영향을 줍니다. 치료약은 증상의 정도, 위치,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결정해야 하며, 정기적인 혈액검사 및 내시경 추적 관찰도 필요합니다.
반응형'일상 정보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누카 꿀 효능과 활용법: 왜 프리미엄 꿀로 불릴까? (0) 2025.11.04 💊 메살라진 복용 중 소변 색이 변할 때, 락스 때문일 수 있어요 (0) 2025.10.23 지셀레카(Zisleca)란? 효능, 효과, 부작용 총정리 (0) 2025.09.09 궤양성 대장염과 유전적 관계성, 얼마나 중요한가? (0) 2025.09.07 만성 비염의 원인과 예방법, 제대로 알아두세요 (0) 2025.09.07

